2014년 12월 3일 수요일

엔트리 프로그램에 대해 살펴보자.


엔트리 프로그램은 아이들을 위한 프로그램 교육도구이다. 미국에서 만든 스크래치 프로그램과 비교할 수 있는데 처음 엔트리가 나왔을 때는 이것을 가지고 교육을 할 수 있을까 걱정이 되는 부분이 있었다. 버그도 많았고 교육에 활용하기에 안되는 부분이 많아 답답했다. 비교가 되는 스크래치는 매우 잘 만들어진 프로그램이어서 새롭게 한국형 소프트교육 프로그램을 만들어서 실용적인 단계의 위치에 갖다 놓는다데 오랜 기간이 걸리지 않을까? 스크래치처럼 만들 수 있을까? 회의적인 입장이었다. 하지만 최근에 다시 들어가서 조금 만져보게 되었는데 생각보다 많은 부분에 신경이 쓴 부분도 보였다. 예전에 쓸 수 있을까란 걱정을 했다면 이제는 쓸만하다라는 긍정적인 입장으로 돌아서게 되었다.

프로그램을 자유롭게 만져보고 싶은 욕구를 가진 아이들에게 아직 구현이 안된 기능이 있고 버그가 있는 상태에서는 그건 안되는거야. 라고 말을 해야 할 때가 생긴다. 하지만 그런 말을 해주기란 어렵다. 메뉴얼대로만 하면 되면 문제가 없겠지만 그렇게만 하라고 하면 프로그램 얼마나 딱딱하고 재미없을까? 하지만 이제는 엔트리 프로그램이 예전보다 버그도 많이 고쳐지고 디자인도 깔끔해졌다. 아이들에게 소개하기도 편안한 느낌이 들었다.

두 번째는 스크래치의 단점을 보강해서 이건 더 낫다 라고 생각되는 부분이 생겼다. 스크래치의 경우 긴 블럭의 경우 잘 보이지 않아서 스크립트창으로 옮겨야지만 보이는 점이 있었다. 

하지만 엔트리의 경우  이렇게 블럭내용이 길어서 안보이는 경우에


마우스를 글씨가 잘린부분의 위치로 옮겨주면 아래 그림과 같이 나타난다.




   또, 아래와 같이 안보이는 블럭이 있을 때 빨간 동그라미 위치에 있는 사각형에 가면 블럭이 보이는 길이를 조정할 수 있다는 점이다. 이렇게 다양하게 프로그램의 편의를 위해서 신경써준 점이 돋보인다.
세 번째로 선생님들을 위한 12차시의 메뉴얼이 상세하게 제시되어 있다. 아이들을 가르치는데 적절한 자료로 선생님들의 부담을 덜어줄 것으로 보인다.
네 번째는 한국의 프로그램도구라 한글지원이 잘 된다. 현재 스크래치 2.0은 블럭이 한글로 되어있지만 그리기를 할 때라든지 부분적으로 번역이 안된 부분이 보인다. 엔트리는 한글 지원이 잘되고 문제가 있으면 바로 지원을 받을 수 있다는 것이 장점이 될 것이다.

물론 아직 엔트리가 베타이고 모든점이 완비된 것은 아니다. 하지만 지금까지 엔트리가 보여준 노력을 살펴보면 앞으로 전망을 밝을 것으로 보인다. 앞으로 조금 더 다듬는다면 내년에는 아니 후년에는 스크래치와 대등한 대결을 펼칠 수 있지 않을까 내심 기대해본다.

2014년 4월 12일 토요일

플립러닝이란?

플립러닝(Flipped learning)은 거꾸로 뒤집은 교육과정이란 뜻으로 전통적인 수업 방식인 교과서를 바탕으로 한 강의 중심 수업 후 숙제 확인 방식이었다면 플립러닝은 학생들이 수업 내용을 미리 동영상을 통해 학습하고, 수업 때는 그 내용을 토대로 토론을 하거나 과제 수행 활동 중심으로 교육하는 것을 말한다고 한다.

이것은 이전에 없었던 새로운 이야기가 아니다. 블랜디러닝 이라고 온오프라인 교육이란 말이 있어왔다. 하지만 예전에는 여러가지 제약으로 적용이 어려웠다. 다음은 예전에 플립러닝이 적용하기 어려웠던 이유이다.
1. 동영상 제작의 어려움
동영상을 만드는데 카메라 구입 및 사용법 알아야 한다. 고급 동영상 편집 소프트웨어 프로그램 사용법 알아야 한다. 컴퓨터도 사양이 무척 좋아야 한다. 아니면 정말 동영상 편집은 나의 인내력 테스트의 장이 될 것이다.
2. 동영상을 올릴 장소 찾는데 어려움
예전에 동영상을 올리고 방송하기 위해서 스트리밍서버를 구입하거나 서비스를 해주는 호스팅 업체를 구했어야 했다. 간단히 말해 동영상을 올릴 장소를 구하기도 쉽지 않고 돈도 많이 들었으며 여러가지 전문지식이 필요하였다.
3. 동영상을 보기위한 번거로움
컴퓨터가 있는 곳으로 전원을 켜서 윈도우를 켠후 웹브라우져를 켜서 사이트에 접속. 로그인을 하고 수업을 찾아서 본다. 사실 이 과정이 그렇게 만만하지 않다. 사이트 접속 중에도 여러가지 문제가 발생하고 가끔 인터넷 속도가 느려서 인내하고 볼만한 수준이 못되는 경우가 종종 있었다.

그렇다면 지금은 무엇이 나아졌을까?
1. 쉽게 만드는 동영상
현재 수업동영상을 제작하는데 아이패드, 또는 다른 스마트패드 만 있어도 수업동영상을 만들 수 있다. 수업 영상을 찍는 것 부터 시작해서 간단한 편집도 가능하고 그래서 올리기만 하면 된다.
2. 동영상을 올리는 곳은?
현재 유투브에 핸드폰 인증만 하면 수업동영상 정도는 무리없이 올릴 정도의 공간을 준다. 물론 다른 누군가가 볼 수 있다는 부끄러움은 감수해야 한다.
3. 동영상을 보기 위한 번거로움
이제는 누구나 와이파이만 된다면 핸드폰으로 쉽게 영상을 볼 수 있다 그만큼 접근성이 편해졌다는 말이다. 꼭 컴퓨터 TV 앞이 아니어도 된다.

플립러닝이 다시 주목되는 3가지 대표적인 이유이다. 어떻게 보면 모든것이 준비된 참으로 복받은 시대인 것 같다. 이 후 강좌는 쉽게 동영상 강의를 만드는 실제적인 방법을 올리려고 한다. 다만 내가 현재 동영상 강좌를 만드는 것은 여러가지 방법중 하나일 뿐이니 또 다른 방법도 찾아보고 자신이 수업동영상을 만드는데 최적의 방법을 찾는 것은 여러분들의 몫이라 생각한다. 수업동영상을 만드는 더 좋은 방법을 공유하고 좋은 수업이 많이 만들어 졌으면 좋겠다.

2014년 1월 14일 화요일

교육용 프로그래밍 사이트 정리

스크래치 - http://scratch.mit.edu


프로그래밍교육이 자기도학습으로 가능한 사이트
http://www.codecademy.com 난이도 상
http://code.org 난이도 하, 흥미 상
http://www.codecademy.com 난이도 중, 흥미 최상

최근 웹상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을 할 수 있는 사이트들이 늘어나고 있다. 세계 각국에서 프로그래밍 교육의 중요성을 이야기 하고 있으며 하나의 큰 이슈가 되고 있기 때문이다. 그 바람이 우리나라에서도 천천히 불고 있다. 하지만 프로그래머들의 처우 개선이 안되어서야 아이들에게 교육하고자 시키고자 하는 마음도 커지지 않을 듯하다.

2014년 1월 5일 일요일

XE 디버깅 방법

디버깅을 모르고 XE 프로그래밍을 한다는 것은 정말 가로등도 없는 캄캄한 길을 걸어가는 것처럼 어려운 일이다. XE 디버깅은 다양한 방법이 있다.

 첫 번째로 콘솔에서 확인하는 방법과 두 번째로 html에서 소스보기를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 세 번째로는 firefox브라우저에 firebug를 통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내가 성공했던 방법은 첫 번째와 세 번째의 방법인데 두 번째은 성공하지 못했다. 일단 첫 번째 방법은 콘솔이 끊기지 않는다면 tail -f 명령어를 이용해서 봐줄 수 있으나 불편한 점이 있었다.

 세번째 방법은 브라우저에서 바로 확인 할 수 있어 꼭 필요한 디버깅 방법이라고 생각되며 여기 그 방법을 적어 보려한다. 일단 firefox브라우저를 다운받아 설치한다. 그리고 도구-부가기능에서 다음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Firebug와 FirePHP 설치한 화면
firebug와 firephp를 설치한다. 처음에 firebug만 설치하였으나 XE의 firebug디버깅모듈이 작동하지 않았다. firephp도 설치해 준다. 

디버깅을 원하는 페이지에서 firebug메뉴가 나오도록 firebug를 클릭하여 아래 메뉴가 나올 수 있도록 한 후 Net메뉴의 화살표 부분을 enable로 설정하여 firebug를 쓸 수 있도록 해준다.


XE 파일도 수정할 곳이 있다. xe->config->config.user.inc.php 라는 파일이 있다. 그 중 다음 파일을 설정을 바꾸어준다.

 define('__DEBUG__', 1); // 1은 디버그를 할 수 있는 설정이다.
define('__DEBUG_OUTPUT__', 2); // 0은 디버그깅화면을 콘솔에서 볼 수 있는 설정이다. 1은 html 주석으로, 2는 firebug로 볼 수 있다.
define('__DEBUG_PROTECT__', 0); //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 0이면 어떤 아이피든 디버깅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1로되면 허용된 아이피만 디버깅이 가능하다. 보안을 위해서는 1이 좋지만 잠깐이라면 0이어도 상관없지 않을까 싶다. 아무튼 기본이 1이므로 위에 DEBUG와 DEBUG_OUTPUT 설정을 잘 해도 디버깅이 안된다면 이곳을 잘 봐야 할 것이다! 

XE 디버깅 설명 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