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 번째로 콘솔에서 확인하는 방법과 두 번째로 html에서 소스보기를 통해서 확인하는 방법 세 번째로는 firefox브라우저에 firebug를 통해 이용하는 방법이다. 여기서 내가 성공했던 방법은 첫 번째와 세 번째의 방법인데 두 번째은 성공하지 못했다. 일단 첫 번째 방법은 콘솔이 끊기지 않는다면 tail -f 명령어를 이용해서 봐줄 수 있으나 불편한 점이 있었다.
세번째 방법은 브라우저에서 바로 확인 할 수 있어 꼭 필요한 디버깅 방법이라고 생각되며 여기 그 방법을 적어 보려한다. 일단 firefox브라우저를 다운받아 설치한다. 그리고 도구-부가기능에서 다음 프로그램을 설치한다.
![]() |
Firebug와 FirePHP 설치한 화면 |
firebug와 firephp를 설치한다. 처음에 firebug만 설치하였으나 XE의 firebug디버깅모듈이 작동하지 않았다. firephp도 설치해 준다.
디버깅을 원하는 페이지에서 firebug메뉴가 나오도록 firebug를 클릭하여 아래 메뉴가 나올 수 있도록 한 후 Net메뉴의 화살표 부분을 enable로 설정하여 firebug를 쓸 수 있도록 해준다.
define('__DEBUG__', 1); // 1은 디버그를 할 수 있는 설정이다.
define('__DEBUG_OUTPUT__', 2); // 0은 디버그깅화면을 콘솔에서 볼 수 있는 설정이다. 1은 html 주석으로, 2는 firebug로 볼 수 있다.
define('__DEBUG_PROTECT__', 0); // 이것은 매우 중요하다. 0이면 어떤 아이피든 디버깅을 할 수 있다는 것이다. 하지만 1로되면 허용된 아이피만 디버깅이 가능하다. 보안을 위해서는 1이 좋지만 잠깐이라면 0이어도 상관없지 않을까 싶다. 아무튼 기본이 1이므로 위에 DEBUG와 DEBUG_OUTPUT 설정을 잘 해도 디버깅이 안된다면 이곳을 잘 봐야 할 것이다!
XE 디버깅 설명 끝.
댓글 없음:
댓글 쓰기